반응형
편경 (編磬)
편경(編磬)은 중국의 전통 악기 중 하나이며, 국악에서도 사용되므로 국악기에 포함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고려 때 북송에서 수입된 아악기로 黃=C인 당악 음정을 따른다. 편종과 쌍을 이루는 악기로 흔히 '종경(鐘磬)'이라고 아울러 부른다. 편경(編磬)은 한국의 전통 음악 중 주로 아악에 사용되었다. 2층의 걸이에 각각 8개의 'ㄱ'자 모양의 돌을 매달고 치면서 소리를 냈다. 맑은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편종과 쌍을 이루는 악기로 흔히 '종경(鐘磬)'이라고 아울러 부른다
1. 악기의 형태
나무틀에 얇게 깎아 각각 다른 음을 내는 돌을 16개 매달아 채로 쳐서 높고 낮은음을 낸다. 은나라 고도(古都)에서 경(磬)이 출토되었던 만큼 중국의 상고시대부터 있었던 악기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 세종 때 박연이 명을 받아 제작하여 썼다. 종묘제례악·문묘제례악·연례악 등에 쓰인다. 나무틀은 편종과 같으며 다만 방대 위에 놓인 목사자 대신 백아를 쓰고, 유사 대신 적(翟)을 다룬 것이 다르다. 경돌(磬石)은 옥돌(玉石)을 쓰며 편종과 같이 위·아래 두 단(二段)으로 매달았으며 한 단에 8개씩 모두 16개를 음높이 순으로 매달아 놓았다. 경돌은 ㄱ자 모양으로 얇게 깎는데 두께에 따라 음높이가 다르며 얇을수록 낮은음이 난다. 돌로 만들었고 경돌은 ㄱ자 모양에서 세로획 부분이 긴 모양인데, 세로획과 가로획의 비율은 음이 높아짐에 따라 작아진다. 조율할 때는 소리가 높으면 돌을 갈아서 얇게 하고, 소리가 낮으면 세로획 부분을 잘라서 음을 맞춘다. 조율은 편종과 같이 12율412율 4청성으로 되었고, 음넓이는 황종(다·c)에서 협종(올림라2·d2 Sharp)까지로 편종보다 1옥타브 높다. 경돌의 배열법 및 연주법은 편종과 같다.
2. 역사
편경은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예종 11년)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들어왔다. 재료가 일종의 옥인만큼 재료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조선 세종 이전까지는 중국에서 수입해다 썼는데, 수입만으로는 수요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궁여지책으로 흙으로 빚어서 기와처럼 구워 만든 개와 경도 만들어 썼다. 당연히 흙은 구울 때 수축하기도 하고 구운 후에 조율할 수도 없어 음정은 엉망이었다. 결국, 국내에서 백방으로 경석이 나는 곳을 수소문한 결과 세종 7년(1425) 남양(南陽: 현재 화성의 일부)에서 좋은 옥이 발견되었다. 세종 9년(1427)에 처음으로 국산 편경을 제작하였는데, 중국산보다 음색이나 음정이 훨씬 좋았다고 전한다. 이후 현재까지도 편경에 쓰는 옥은 옛 남양인 수원과 화성 근처 옥 광산에서 캐서 쓴다. 이를 박연(朴堧)·맹사성(孟思誠) 등이 갈고 닦아 중국의 석경보다 좋은 편경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편경 재료의 산지와 제작기술이 실전되고, 한국에서 재료의 산지를 찾지 못해 대신 중국 방방곡곡을 뒤져 적합한 돌이 나는 산지를 찾아내 재료를 수입해서 제작기술만을 복원했다가 오랫동안 잊혔던 국내 산지를 다시 발견해 다시 국산화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편경과 관련해서 세종대왕의 음악적 재능을 보여준 일화가 있는데 박연이 편경과 편종을 새로이 만들고 시험연주를 했는데 이에 세종대왕은 칭찬하면서도 "다만 이칙(夷則) 1매(枚)가 그 소리가 약간 높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물어 박연이 확인해보니 과연 그 자리는 아직 미처 다 갈리지 않아 먹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다시 갈고 연주했더니 그제야 소리가 바르게 되었다고 한다.
재료가 무척 귀한 악기이다 보니, 편경을 파손시킨 사람은 곤장 백 대에 3년 동안 귀양을 보낸다는 형조가 대전통편에 있다. 그러면서 대전통편에는 전란이 일어나면 가장 먼저 편경을 숨기라는 내용도 기술되어 있다.. 악기의 기준 음에 해당하기에 편경만 무사하면 나머지 악기를 다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경이 국보급 악기로서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3. 특징
두 개의 방대(方臺) 위에 백아(白鵝) 한 쌍을 앉히고 그 위에 나무틀[架子]을 세워 양편에 봉두(鳳頭)를 조각하였으며 틀 위에는 다섯 마리의 목공작(木孔雀)을 세우고 꿩 깃으로 만든 술로 장식하였다. 이 틀에 16개의 ㄱ자 모양의 석경을 8개씩 두 줄로 나누어 걸고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반드시 긴 쪽인 고(鼓)의 끝을 쳐야 한다. 음역은 12율 4청성(十二律四淸聲) 즉 황종(黃鐘:C音)에서 청협종(淸夾鐘:d#音)에 이르며 음색은 매우 청아하다. 편경은 추위와 더위, 습기와 건조에도 음색과 음정이 변하지 않아 모든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 《대전통편(大典通編)》에 종 ·경을 다룰 때 잘못하여 이를 파손한 자에게는 장(杖) 일백, 도형(徒刑) 3년의 벌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악기가 매우 소중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증보문헌 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석부에 속한다.
4. 조율법
2007년 제작된 국립국악원 편경의 조율법을 알아보면, 먼저 조율하기 전 경석을 갈아낼 부분을 계산하여 넉넉한 두께로 재단한 다음, 3차에 걸쳐 연마하며 재단한다. 1차 조율은 대형 그라인더를 동원하여 갈아내는데 이때 마찰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을 뿌리면서 습식으로 연마하게 된다. 조율할 때 경돌이 물을 많이 흡수함을 생각하며 음정을 확인한다. 이후 약 보름간 건조하여 튜너로 음을 확인하고, 세로 부분 길이와 경돌의 두께를 조절하며 다시 조율한다. 물론 경돌을 갈 때 열이 많이 나기 때문에 식혀가면서 조율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3차 조율은 정밀기기를 동원하여 센트 단위까지 정밀조율한 후, 습기를 머금어 음이 변함을 막고자 광택제를 뿌려 마무리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