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판소리의 역사

by Vnuk 2023. 7. 24.
반응형

판소리는 민속연희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기록은 없고 향반의 방증(傍證)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판소리를 구성하는 3요소에는 소리꾼, 고수, 청중이 있다.

평민에게 널리 사랑받은 문화인만큼,, 격식을 갖추었다기보다는 관객이 극 중간마다 '얼쑤!', '잘한다!', '좋다!' 등의 호응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추임새라고 한다.

이는 소리꾼이 청중에게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전달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 예술이 아니라 쌍방 소통을 하는 음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판소리의 창자(唱者)는 대부분 광대이므로 광대의 사회적 신분부터 밝혀야 할 것이다.

광대는 일명 재인(才人화랑(花郞)이라고 하여 중세기의 연예를 맡았던 우인(優人)이다. 그들은 소위 '사니' 계급에 속하는 일종의 천민이며, 무속의 담당자인 무당의 남편이었다. 그들은 호적에 우인(優人)이라 표기되며, 대기 군아(郡衙)의 재인청(才人廳)에 소속되고 있었다. 그들은 무계라는 그들 계급의 조직이 존재했으며, 이것은 전국적인 조직이었다.

 

군아에서 잔치를 할 때는 재인(才人)으로 봉사하게 하고 군수가 나들이 할 때는 그들에게 고취(鼓吹)를 잡히어 악기를 연주하게 하고 1년에 한 군에서 몇 명씩 악공으로 서울에 올라가 한두 달 연습을 하고 궁중의 나례(儺禮)를 치르게 하였다. 또 명이나 청국의 사신이 오면 산대잡희를 이들로 하여금 연출하게 하였다.

평상시에는 무당의 남편으로 아내인 무당이 굿을 할 때 북을 쳐주는 조무(助巫)로 봉사했고, 남의 집 잔치에 나가서 잡희를 하고 과거에 합격하고 내려온 신급제(新及第)3일유가(三日遊街)나 문희연(聞喜宴) 땐 삼현육각(三絃六角)을 잡고서 전도(前導)를 하는 등, 조선사회에선 우인·창자(唱者)로서 연예 문화에 봉사해 왔다..

이 중에서 그들의 중요한 소임은 인조 이후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희자(戱子)로서 가면극을 연출하였다는 사실이다. 이 산대도감극은 대화와 창()과 춤()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는 소박하나마 하나의 줄거리가 있다. 이 줄거리를 여러 사람이 협동적으로 연출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설명을 해가며 그 장면 장면을 노래와 대사로 엮어 갈 때 '배뱅이굿' 같은 형태의 그 무엇이 생성(生成)된다. 그 무엇이 바로 판소리다.

오늘날까지 알려진 사실로는 판소리가 누구에 의해서 언제 불리었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조선 창극사에는 1930년대의 여러 명창들이 증언한 것을 토대로 하여, 판소리는 숙종 말에서 영조 초에 걸쳐 하한담(河漢潭)과 결성(結成)의 최선달(崔先達)에 의하여 시창(始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행적에 대하여는 묘연하다. <목천읍지(木川邑誌)>에 우인의 이름으로 하한돌(河漢乭)<효행(孝行) 편>에 나오고 결성에 해주최 씨가 살고 있으나 그곳에서도 이런 사실을 확인할 수 없다. 문헌상으로는 우춘대(禹春大) 다음에 권삼득(權三得)이 나오는데 이 권삼득은 생원(生員)이라고도 하며 전북 완주군(完州郡) 안동 권 씨(安東權氏) 향반(鄕班)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는 그 문중의 족보에 의하면 영조 47년(1771) 생으로 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판소리 문학에 내재된 그 문학성을 해명하는 데는 이런 향반 자제의 참가가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광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판소리사()는 세 시기로 나눌 수가 있다. 즉 첫째 시기는 시창기(始唱期)에서 영·정조대까지의 형성기, 둘째 시기는 고종 때까지의 전성기, 그리고 셋째 시기는 고종 말기 이후로 그 쇠잔 기라 할 수 있다.

 

Ⅰ. 17~18세기

 

판소리의 등장 시점은 17세기 경이다.

조선 중기 이후 남도 지방에서 발달한 판소리는 17세기말에서18세기 초에 시작되어 19세기말에는판소리의 황금시대라 불릴 정도로 대중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18세기 중엽에 이미 열두 마당의 고정된 레퍼토리가 있었는데, 당시에는 한 마당의 길이가 길지 않았다. 당시 열두 마당에는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 타령(왈짜타령),장끼타령, 가짜신선타령(대신 숙영낭자전을 넣기도 한다)이 있었다.

 

평민들 사이에 인기가 있던 판소리를 양반들도 함께 누리게 되면서, 사설과 음악이 양반들의 취향에 맞게 바뀌어 어려운 한문이나 고사가 첨가되고 소리에도 무게감이 실리게 되었다. 또한, 강릉매화가·변강쇠타령과 같이 서민적인 재담이 많은 것은 도태되고, 적벽가, 심청가, 춘향가와 같이 사대부들이 공감할 수 있는 판소리는 계속 발달하였다.
음악적인 측면에서도 양반이 안방에 앉아 편히 즐길 수 있도록 성량 대신 기교가 발전하는 창법이 발달(소위 안방소리)했으나, 그렇다고 창법이 완전히 바뀐 것은 아니고 여전히 소리꾼으로서 폭포와 같이 우량한 성량을 갖는 것은 최대의 수련 과제였다.

성립 초기의 명창으로는 우춘대, 하한담(하은담), 최선달 등이 꼽히는데 뭘 불렀고,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다.

 

 

Ⅱ. 개화기

 

신재효의 활약으로 현대 판소리와 유사한 방향의 판소리 형태가 정립되었다.

그는 전국을 돌면서 구전으로만 전래되던 판소리를 수집한 뒤, 자신의 사설적 지향점을 담아 글로 옮겨서 일종의 정본을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개화기 때의 잘 알려진 판소리 애호가로는 고종황제와 흥선대원군이 있다.

 

Ⅲ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기는 판소리가 전국적으로 유행한 시기이며, 일반인이 판소리 하면 떠올리는 계면조 서편제 형식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시대이기도 하다. 또한, 녹음 시설이 유입되면서 많은 명인들이 레코드판을 취입하기도 했으며,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임방울의 '쑥대머리' 등이 이때 녹음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한 사람 가운데 전통적인 틀의 판소리를 했던 사람들로는 박기홍, 전도성, 김창환,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유성준 등이 꼽히는데 이 중, 김창환,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을 '근대 5명창'이라고 칭하며, 현대 판소리사에서 초창기 인간문화재들 대다수가 이들의 제자이거나 손제자 들이다.. 여기에 최초의 여류 명창으로 손꼽히는 진채선도 이 시기의 인물로 본다.

이 시기에는 권번에서도 소리를 가르치게 되면서 여류 명창들이 많이 늘어났는데 이화중선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 임소향, 문련향, 신금홍, 오비취, 신숙, 권금주, 김초향 등의 이름이 보이고, 해방 후에도 활동한 박록주나 김소희도 이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인물들이고, 이화중선은 '추월만정', '소상팔경' 등의 소리로 임방울과 더불어 당대 판소리 음반으로는 공전의 히트를 친 인물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로 연극적 요소가 포함된 창극이 연행되었는데, 정정렬이 특히 이쪽으로 많이 관여하였고, 현대 판소리사의 굵직한 인물들이 대부분 이 시기에 창극운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

 

Ⅳ. 현대의 판소리


무엇보다 현대 한국에서 판소리는 아직도 대중적이지 못한 음악이라는 평을 듣는다.

이는 현대 한국인들이 8음계 등 서양식 음계를 기반으로 한 대중음악에 너무 익숙해져 버린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현대 한국인들은 중국이 판소리 등을 자국 문화라고 우기면 자기들이 잘 지킬 것 처럼 크게 분노하지만, 막상 거기까지 뿐이라는 것이다.

30년 전에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라는 영화가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며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판소리 하면 대표적으로 서편제를 많이 떠올린다.

현재의 판소리는 동,서편제 소리를 계승한 다양한 소릿제들이 인간문화재 들로부터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다. 경제를 제외한 중고제, 동편제, 서편제는 모두 지금의 충청남도 이남, 전라도 일대에서 전승되었던 소릿제였는데, 이 때문에 특성상 서남 방언이 많이 스며들어 있다.

북한에서는 1960-70년대에 소실되었다. 1940~50년대 판소리 명창들이 제법 월북했음에도 불구하고김일성이 판소리를 지주층이 민중을 노예처럼 부릴 때 생겨난 착취예술이라고 주장하며 탄압했다’. 또한, 판소리 명창들이 김일성 1인 체재를 비판하는 가사를 넣었고 이 상황까지 합해져서 소실되었다. 여기에는 북한 내에서 알력다툼이 있었는데 김일성이 개인적으로 쐑소리라면서 싫어했던 것도 있고 해서 북부출신 지역 국악가의 손을 들어주게 되었다. 이후로는 판소리에 대한 지원이 뚝 끊어졌고 판소리의 현대화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은데다가 후학양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바람에 아예 명맥이 끊어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학계 정설로 전해지고 있다.

한국 민주화 운동에서 빠질 수 없는 김지하 시인이 창작판소리라고 오적이란 시를 써서 당시 한국의 고위공무원들을 싸잡아 까내렸다가 투옥된 일화가 있다.

정통 판소리라 볼 수는 없지만 들국화의 보컬 전인권은 판소리를 베이스로 한 창법을 쓴다고 한다.

이자람밴드의 리드보컬 이자람은 판소리 계승자로 더 유명하다. 본래 어린 시절 작곡가인 아버지와 함께 '내 이름'이란 노래를 부른 이로, TV 프로에서 판소리를 배우게 되면서 흥미를 가져 전공하고 전수까지 받게 되었고. 춘향가와 적벽가 이수자이자 최연소 완창 기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자람은 2007년 독일 소설가 브레히트의 '사천의 착한 사람'이라는 소설에서 착안한 '사천가', '억척 어멈과 자식들'에서 착안한 '억척가'를 국내에서 창작 판소리로 공연하였다.

우리나라의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는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3117일 유네스코 제2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되었다. 20038월에는 판소리 다섯 마당이 링컨센터페스티벌, 에딘버러페스티벌 등 세계적인 음악축제에 초청되어 ‘에든버러비평가상’을 수상하는 등 호평을 받았다.

최근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국악, 판소리계에서도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월드 뮤직으로서의 다양한 가능성과 모습을 찾고 있다. 2019년 데뷔한 수궁가를 재해석한 범 내려온다의 이날치, 황해도 민요와 굿, 판소리 적벽가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영정거리의 악단광칠 같은 소리꾼들이 홍대, 이태원등, 젊은이들이 모이는 클럽에서 핫한 신상으로 주목받는 등 21세기에 맞게 진화하려는 시도와 성공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이날치는 2020년 한국관광공사와 콜라보를 진행하여 서울, 부산, 전주, 안동, 목포, 강릉을 배경으로 퓨전 국악을 활용한 홍보영상을 촬영했는데, 처음에 서울, 부산, 전주편이 공개되자 한 달여 만에 세 편의 유튜브 영상 총조회수가 7300만을 넘어섰는데, 2020915일 기준 페이스북, 틱톡등에서 기록한 수치까지 합하면 총 260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고 한다. 유튜브 유료광고영상 조회수 집계기준을 고려하면 매우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영상에 외국인 댓글들이 많아 외국인들도 판소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