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범패(梵唄)

by Vnuk 2022. 12. 25.
반응형

범패(梵唄)

 

범패(梵唄)는 불교 관련 의식에서 사용되는 의식용 음악으로 불교의식의 진행 시 사용되는 모든 음악을 총칭한다. 정수일은 불교 사원에서 불경을 송독하거나 찬양하는 음조라고 정의, 설명하고 있으며, 일명 범음(梵音인도(印度)소리, 또는 어산(魚山)이라고도 한다. 가곡, 판소리와 함께 한국 3대 성악으로 불린다. 범패의 종류로는 안채비소리·홋소리·짓소리·화청(和請) 등이 있고, 작법(作法) 즉 무용이 곁들여진다.

장단(長短)과 화성(和聲)이 없는 단성시율(單聲施聿)이며, 또한 일정한 악보가 없이 입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전승이 어려워 매우 배우기 힘들다. 전문적 스님들에 의해 불려지는 좁은 의미로써의 범패는 크게 바깥채비소리, 안채비소리, 화청(和靑) 이 세 가지를 의미한다. 바깥채비와 안채비 등은 의식의 규모에 따라 구별되는데, 간단한 불공과 시식은 안채비소리로, 그 외 영산재 등은 안채비와 바깥채비소리가 모두 불린다.

 

1. 역사

 

1) 범패의 기원

범패의 기원에 대해서는 묘음보살(妙音菩薩)의 음악공양설, 영산회상 기원설, 중국 조식(曹植) 창작설 등이 있고, 그 전승에 대하여 오()의 지겸(支謙)이 범패삼계(梵唄三契)를 짓고, 강승회(康僧會)가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성명(梵唄聲明)을 크게 유행시켰다. 분명한 것은 인도의 종교음악으로부터 불교음악 범패의 원류가 형성되었고 불교의 전래와 함께 실크로드를 따라 불교문화권으로 전래된 문화인 것이다.

 

2) 한국의 범패

한국의 경우 당나라의 유학승 출신으로 쌍계사를 중창한 진감선사(眞鑑禪師)가 범패를 잘했다는 언급이 있어서 당연히 한국 범패의 시작으로 진감선사를 꼽고 있는데, '불교 의식 진행 시에 사용되는 모든 음악'의 통칭이라는 범패의 정의를 감안하면 <삼국유사>'월명사(月明師)가 지었다는 향가 도솔가(兜率家)를 범패의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더 올라가면 신라의 원효가 지었다는 무애가도 종교적 목적을 가진 음악으로 범패의 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3) 일본의 범패

일본의 승려 자각대사(慈覺大師)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서는 중국에 있던 신라의 적산법화원에서 불리는 범패에 당풍(唐風), 향풍(鄕風), 고풍(高風)의 세 종류가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적산원(赤山院)에서의 불교강의(佛經講義) 의식. 아침 8시에 불경강의를 위한 종을 쳐서 대중에게 알리고, 종소리가 그친 이후 한참 있다가 대중이 법당(法堂)에 들어갔다. 바로 그때 대중을 안정시키는 종소리가 울렸고, 강사(講師)가 법당에 들어와 높은 의자에 앉으려 하자 곧 대중이 합창으로 칭탄불명(稱嘆佛名)’을 불렀는데, 그 곡조가 아주 신라풍이었고 당풍을 닮지 않았다. 강사가 자기 자리에 앉자 칭탄불명을 부르는 소리가 그쳤다. 강사의 아래에 앉았던 한 승려가 당풍의 범패를 불렀는데, 그 가사는 ‘운하어차경(云何於此經)’‘운하어차 경(云何於此經)’이란 한 행짜리였다. 그 강사가 자기 자리에 내려오자, 한 승려가 처세계여허당(處世界如虛堂)’이라는 게()를 불렀는데, 그 노랫소리가 본국(일본)의 것과 아주 비슷했다.

 

4) 엔닌 입당구법순례행기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는 839)의 일을 기록했고, 진감선사가 신라로 귀국한 때는 흥덕왕 5(830)이었는데, 엔닌의 귀에 신라 범패와 당의 범패, 일본의 범패가 서로 다르게 들렸다는 기록은 이미 동아시아 삼국에 각기 독특한 불교 음악이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이미 진감선사 이전에 신라에서 부르던 고유 범패가 있었고, 진감선사가 당에서 귀국해 옥천사에서 가르쳤다는 범패는 당풍 범패라고 추정한다. 엔닌 입당구법순례행기2, 개성(開成) 4(839) 1112.

 

5) 고려 시대 범패

고려 시대 불교는 국교로서 연등회(燃燈會)와 팔관회(八關會)가 국가의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백좌도량(白座道場) 등이 왕궁에 설치되었으며, 특히 의종(1147-1170) 이 각()을 부는 취각군사(吹角軍事)와 소라를 부는 취라군사(吹螺軍事)를 세워 연등회에 참석했으므로 범패 또한 상당히 성행한 듯하다.

 

6) 조선 시대 범패

조선 시대에는 국가의 억불숭유 정책 때문에 자연히 범패도 드물어졌다. 하지만 세종 13(1431) 8월에 범패가 행해졌던 사실이 문헌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범패의 기록은 '범음종보(梵音宗譜)'(1478), '신간책보범음집(新刊冊補梵音集)'(1713), 백파(白坡)'작법귀감(作法龜鑑)'(1828) 등에서 살펴 볼 수 있으며, 영조 24(1748) 범패의 대가 대휘(大煇) 화상이 범음집(梵音集)이 저술했고, '범음족파(梵音族派)'에 범패승들 이름이 많이 기록되었는 것으로 보아 여전히 민간신앙의 주체로서 범패의 수요는 꾸준히 있었던 모양이다. 작법귀감에서는 범패에 사용되는 선율을 4성으로 언급하는데, 당대의 승려 처충(處忠)이 지은 원화운보(元和韻譜)에서 언급한 사성과도 일치하여 중국어가 형성되던 초기의 성조 체계가 불경 나아가 범패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19116월 사찰령과 더불어 각 본말사법(本末寺法)이 제정되자 조선 승려의 범패와 작법이 금지되었고, 의식은 간소화되면서 맥이 끊어지는 듯했으나, 1931년 안진호(安震湖)가 불교의식을 모은 '석문의범(釋門儀範)''석문의 범(釋門儀範)'을 펴내자 이후 불교의식 예법의 필독서가 되었다. 근대에는 서양음악의 도입으로 오선보로 제작 및 편찬된 찬불가가 등장하였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권상로가 1925년에 제작한 찬불가집 '은듕뎐', 조학유가 '불교'에 게재한 24곡의 찬불가(1926-1927) 등이 있으며, 특히 백용성은 자신의 '대각교의식'에 찬불가 등을 수록하여 찬불가 운동을 통해 대중의 교화를 시도하였다.

 

7) 해방 이후 범패

해방 이후 불교의 권공의식은 점차 쇠퇴해 갔지만 영·호남, 경기를 중심으로 이어졌던 범음이 한국 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지정과 더불어 전승되어 가고 있다. 근대의 맥을 이어 해방 이후 찬불가의 제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정묵의 '찬불가(讚佛歌)', 정운문의 '불교동요집'(1964), '행복의 문'(1979), '어린이찬불가'(1985), '불교성가집'(1983) 등을 들 수 있다.

 

1970년대 이후로는 점차 불교계의 공식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불교음악은 범패를 중심으로 한 전통 불교음악과 새롭게 창작된 다양한 찬불가가 서로 공존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天竺國俗, 甚重文製. 其宮商體韻, 以入絃為善. 凡覲國王, 必有贊德. 見佛之儀, 以歌歎為貴. 經中偈頌, 皆其式也.

천축국의 풍속은 문장의 체제를 대단히 중요시한다. 그 오음(五音)의 운율(韻律)이 현악기와 어울리듯이, 문체와 운율도 아름다워야 한다. 국왕을 알현할 때에는 국왕의 덕을 찬미하는 송()이 있으며, 부처님을 뵙는 의식은 부처님의 덕을 노래로 찬탄하는 것을 귀히 여긴다. 경전 속의 게송들은 모두 이러한 형식인 것이다.

<양고승전(梁高僧傳)>2, 진장안구마라집(晉長安鳩摩羅什)

 

2. 범패의

범패에는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와 겉채비들이 부르는 홋소리·짓소리·화청 등이 있다.

 

1) 바깥채비

바깥채비는 홋소리, 짓소리, 반짓소리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범패는 홋소리를 가리키기도 하며, 범음(梵音)은 짓소리의 별칭이기도 하다. 훗소리는 오언사구(五言四句), 칠언사구(七言四句) 등 한문으로 된 사설과 범어로 된 진언(眞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창 또는 대중창으로 부른다. 반짓소리는 일부만 짓소리로, 나머지 소리는 훗소리나 평염불로 불리는 곡을 말한다. 짓소리는 훗소리에 비해 소리가 청아하며 짧은 게송으로 되어 있지만 연주시간이 길고 장엄하다. 현재 짓소리는 과거 72() 중에서 15곡만이 전해진다.

 

2) 안채비

재를 올리는 절 안의 유식한 병법(秉法) 또는 법주(法主)가 요령(搖鈴)을 흔들며 낭송하는 소리이다. 사설은 주로 한문인 산문으로 되어 있고, 내용은 재주(齋主)를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예로 유치(由致)나 청사(請詞) 등을 들 수 있다. 안채비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서양 오페라의 레치타티보처럼 촘촘히 읽어 나가는 것이다.

안채비는 본사의 큰스님이나 재()의 진행을 맡은 법주(法主)에 의해 불리는데, 권공(權共) 이유가 담겨있는 4·6체 형식이나 산문 형식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찰 안에서 불리는 일반적인 염불(念佛)이 여기에 해당되며 유치성(由致聲), 편게성(偏偈聲), 착어성(着語聲), 개탁성(開鐸聲) 등이 있다.

이러한 홋소리, 짓소리를 모두 하는 스님을 어장(魚丈)이라고 하며, 어장은 모든 소리를 자유자재로 하는 것은 물론 의식의 전반적 흐름과 이론에도 밝아야 하므로 말강(末講), 중강(中講), 상강(上講)의 과정을 거친다.

 

3) 홋소리

대부분의 범패 레퍼토리는 이 홋소리로 되어 있다. 홋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주로 3음으로 되어 있는데, 완전4완전 4도 위에 단 3도를3 쌓아 올린 것이다. 홋소리의 사설은 주로 한문으로 된 정형시여서, 앞의 2(前二句)는 뒤의 2(後二句)와 음악적으로 같거나 비슷하다.

 

4) 짓소리

홋소리를 다 배운 범패승이 배우는 것으로, 대개 한문으로 된 산문 또는 범어(梵語)를 그 사설로 가지고 있다. 짧은 연주 시간을 가지고 있는 홋소리에 비하여, 짓소리는 상당히 긴 시간을 요한다. 원래 72가지나 되던 짓소리가 요즈음엔 다 망실되고 겨우 거령산(擧靈山)·인성(引聲)·관목게(灌木偈)·목욕진언(沐浴眞言)·단정례(單頂禮)·식영산(食靈山)·보례(普禮)·두갑(頭匣)·오관게(五觀偈)·영산지심(靈山志心)·거불(擧佛)·특사가지(特賜加持)·삼남태(三南太) 등 13곡 정도가 불린다. 짓소리의 음악적 스타일은 장인굴곡(長引屈曲)으로서 길게 한 음을 끈 다음에 잔가락을 붙인다. 또 홋소리가 주로 3음을 사용하는 데 비하여, 짓소리는 5음을 다 쓴다. 또 짓소리에는 허덜품이라는 것이 있다.

짓소리

5) 허덜품

짓소리 속에 나오는 독창 부분으로서 전주 또는 간주의 역할을 한다. 허덜품의 종류에는 단정례 허덜품·등게 허덜품·보례 허덜품·홋소리 중의 허덜품 등 네 가지가 있다. 단정례 허덜품은 전주로 불리고, 보례 허덜품은 간주로 불리며, 등게 허덜품은 전주로 쓰이지만 지금은 망실되었다. 홋소리 중의 허덜품은 전주로 쓰인다.

 

6) 화청(和靑)

화청(和靑)은 재를 지내는 여러 절차 사이에 어장이 징·목탁·북 등의 타악기를 치며 부르는 것으로서 화청과 회심곡(回心曲)으로 나눌 수 있다. 사설 형식의 가사를 개개인의 독특한 음성으로 부르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그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음이 쉬워 대중적이라는 특징이 있지만, 매우 어렵다 화청의 내용은 불보살을 청하여 공덕을 찬탄하며 재를 지내는 신도의 소원성취를 기원하거나 영가의 극락정토왕생을 발원하는 의식적 내용으로 되어있다.

 

7) 회심곡

회심곡은 인간의 권선징악과 희로애락 그리고 생로병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된 것과 '부모은중경' 중 덕담 부분을 뽑아서 한글로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축원화청을 부르기 전에 독창으로 부르며, 실로 종류가 매우 다양한 편이며 왕생가, 열반가, 몽환가등이 있다,

 

8) 화청·회심곡

포교의 한 방편으로서 대중이 잘 알 수 있는 음악에 불교를 쉽게 이해시키고 신봉케 하는 사설을 얹어 부르는 음악이다. 음악적 스타일은 경기 민요조, 특히 창부타령 같은 민요와 관계가 있다. 범패가 한문이나 범어를 그 사설로 쓰고 있는 데 대하여, 화청이나 회심곡은 한문과 우리말의 혼합으로 되어 있다.

 

9) 작법(불교무용)

영산재 즉 식당작법(食堂作法) 속에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나, 기타의 재에도 요잡(繞匣)이라 하여 곡목과 곡목 사이에 빈번히 사용된다. 작법의 종류에는 나비춤·바라춤·법고춤의 세 가지가 있다.

 

10) 나비춤

나비 같은 작복(作服)을 입고 고깔을 쓰고 소에는 모란꽃을 손에 들고 춘다. 나비춤의 종류에는 다게작법(茶偈作法)·도량게작법(度量偈作法)·사방요신(四方搖身)·향화게작법(香花偈作法)·정례작법(頂禮作法)·운심게작법(運心偈作法)·지옥고작법(地獄苦作法)·만다라작법(慢多羅作法)·자귀의불작법(自歸依佛作法)·기경작법(起經作法)·삼귀의작법(三歸依作法)·구원겁중작법(久遠劫中作法)·모란찬작법(牧丹讚作法)·오공양작법(五供養作法)·타주(打柱) 등 15가지가 있다.

 

11) 바라춤

양손에 큰 바라를 들고 추는 춤이다. 바라춤의 종류에는 천수(千手)바라·명발·사다라니바라·막바라(보통바라)·관욕게(觀浴偈)바라·내림게(來臨偈)바라 등 6가지가 있다.

 

12) 법고춤

양손에 각기 방망이를 쥐고 법고를 치면서 추는 작법. 불교 무용의 하나다. 법고춤에는 홍구춤과 법고(法鼓)의 두 가지가 있다

 

3. 재의

범패는 주로 다음 다섯 가지 재()에 사용된다.

 

1)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가장 많이 쓰이는 사자(死者)를 위한 재로서, 보통 하루가 걸린다. 범패승(梵唄僧)이 처음 범패를 배울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이 상주권 공재부터 배운다.

 

2)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

일명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이라고도 하며, 상주권 공재보다 약간 규모가 크다.

3)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죽어서 왕생극락(往生極樂)하게 해 달라고 생전에 미리 지내는 재이다.

4) 수륙재(水陸齋)

수중고혼(水中孤魂)을 위한 재이다.

5) 영산재(靈山齋)

가장 규모가 큰, 사자를 위한 재로서, 3주야(三晝夜)가 걸린다.

 

4. 기타

황병기 선생이 1974년 작곡한 가야금 독주곡 '침향무'는 범패의 음계와 선율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